메뉴 건너뛰기

 

오늘은 농민 주일입니다. 장맛비가 내리는 요즘입니다. 하늘(대기) 강에서 물이 쏟아집니다. 참으로 농부의 마음은 근심 걱정으로 가득합니다. 생명을 소중하게 가꾸어 식량을 마련하는 농부들의 하룻날이 힘들기만 합니다. 특별히 오늘 농부들의 수고로움을 생각하며, 도시에 사는 우리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묵상하 농부들을 위해 기도합시다.

 

1992 12 12일 우루과이라운드(UR)가 타결(농업협정) 되었습니다. 쌀 개방 불가 방침을 고수해왔던 우리나라는 미국 등 선진국의 요구로 1995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 국내 소비량의 1%~4%를 수입(의무수입물량)하기로 확정합니다. 이에 따라 쌀과 함께 소고기, 보리, 고추, 마늘, 양파 등 14개 기초농산물도 관세화를 통해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소위 우루과이라운드 타결로 인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부분은농업농부들이었습니다.

 

그래서 1994년부터 한국 교회 전체가우리 농촌 살기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올해는농민 주일이 제정된 지 스물아홉 번째 해가 됩니다. 다시금 우리는농민 주일제정의 의미를 되새기면 좋을 듯합니다. 농민들의 현실적인 고통은 단순하게 농민들만의 어려움이 아닙니다. 이 땅 우리나라에서 밥을 먹고 사는 모든밥상공동체의 지극히 현실적인우리의 문제입니다.

 

우크라이나 - 러시아 분쟁에서 보듯 세계 최대 밀 생산국들 간의 전쟁은 밀 생산 농지를 초토화시키고 더 이상식량을 생산하지 못하는 불모지로 전락시켜 버렸습니다. 이렇게 전쟁은식량부족 문제를 촉발시키기에농업과 식량은 늘 안보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그러므로농업농부’, ‘식량을 지키는 일은 우리의 생존을 위한 일입니다. 설상가상으로 공동의 집 지구는 온난화로 인해 심각한 기후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이 위기는 곧바로 농업의 위기입니다. 세간에금 사과’, ‘금 배이야기가 회자되고 있습니다. 물론, 농산물 유통구조의 불합리성 차원에서 벌어지는 것일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서민의 밥상은 초라합니다.

 

오늘 농민 주일을 맞아 다음의 물음을 우리 자신에게 하고 새로운 각오를 하셨으면 합니다.

1. 생산자(농부)와 소비자가 어떤 협력과 연대를 할 것인가?

2. 우리의 밥상을 살리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3.우리의 생활양식을 하느님 창조 질서에 합당하게 변화시켜 나갈 것인가?

 

오늘 세상의 모든 농부들의 수고로움에 감사하고 응원의 박수를 보내주셨으면 합니다.

 

 

 

생태환경 및 농어민사목부장 임성호 베네딕도 신부

 

 

 

 

 

 

 

?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