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찬미예수님.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자리가 있습니다. 어떠한 개별적 자리는 자리에 맞갖은 기준을 제시합니다. 자리에 맞는 모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일 자리에 맞는 모습을 하지 않게 된다면 사회적 혼란을 가져오게 되고,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게 됩니다. 가정에서 부모는 부모의 자리가 있고, 자녀는 자녀의 자리가 있습니다. 학교에서 교사는 교사의 자리가 있고, 학생은 학생의 자리가 있습니다. 공적인 곳에서는 각자마다의 자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자리에 맞갖은 모습을 갖추고 있으면 우린 ‘~답다.’ 말을 합니다. 그러나 자리에 맞는 모습을 하지 않으면 ‘~답지 않다.’ 말을 합니다. ‘~다운모습을 가지기 위해서 먼저 필요한 것은 자신이 어떤 자리에 있는지를 인식해야 합니다. 그래야 자리에 맞는 기준을 알고 행할 있게 됩니다. 누군가가 ‘~답네.’라고 평가하는 것은 사람이 자리의 기준을 알고 행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타인의 어떠한 평가는 결국 자신이 어떠한 사람인지를 알고 행하는 것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오늘 독서에서 바오로 사도는아무도 속된 기준으로 이해하지않는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바오로 사도의 사도적 기준은그리스도의 사랑이었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기준을 인식하고 있었기에 마지막 순간까지 그리스도의 사랑 전한 사도다울 있었던 것입니다. 복음에서 제자들은거센 돌풍 겁을 먹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 자신들은 누구를 따르고 있는 제자들인지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예수님과 함께 있지만 겁을 먹고 있습니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명확히 알고 계셨습니다. “ 겁을 내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라고 하십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다양한 자리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자리마다의 특성이 있고, 자리마다의 기준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우리 신앙인에게는 그보다 소중한 자리가 있습니다. 바로하느님의 자녀’, ‘그리스도인이라는 자리입니다. 사회적 자리보다 소중하고 높은 자리인 이유는 사회적 기준이 아니라 하느님의 기준이 적용되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자리가 아니라 바로 하느님께서 주신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우린하느님의 자녀다운행위를 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할 우리는그리스도인 답네.’라는 평을 받게 것입니다. 하느님의 기준은사랑이기에 우리의 모습은사랑 모습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에게 귀중한 자리를 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리며, ‘그리스도인다운모습을 갖출 있도록 사랑하는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아멘.

 

 

 

산자연중학교 교장 최종욱 다미아노 신부

 

 

 

 

 

?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