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휘포크리테스’. ‘위선자로 번역된 이 말마디는해석하는 자’, ‘설명하는 자라는 뜻을 지니는데, 고대 사회에서연기자를 가리킨 말마디였습니다. 제 본디 모습이 아닌 다른 이의 모습으로 분하여 무대에 올라 청중을 대해서 그럴까요. 복음서들은휘포크리테스를 다른 형제들에게 배타적이고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는 완고한 이들, 특별히 바리사이와 율법학자들을 비판할 때 자주 사용하곤 합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휘포크리테스가 등장합니다. 제 눈에 들보가 있어 앞을 제대로 못 보는 눈먼 이에 비유되는 휘포크리테스는 제 시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굳이 형제의 눈에 든 티를 꺼내겠다는 오지랖마저 서슴지 않습니다. ‘로 번역된카르포스는 지푸라기와 먼지 가루 혹은 작은 점과 같은 부스러기를 가리키는 말로, 기둥으로 쓰이는 나무라는 뜻의도코스(δοκός, 들보)’와 대비되어 나무의 작은 조각 정도로 이해됩니다. 타인의 작은 허물도 이 세상을 허물어뜨릴 만큼의 대단한 위험이나 위기로 해석하고 선동하는 경우가 휘포크리테스에겐 잦다는 말입니다.

 

사실, 우리 인간은 보이는 것을 제대로 보는 데 둔감합니다. 보고 싶은 것을 보고, 듣고 싶은 것을 듣는 게 인간이지요. 제 눈에 들보가 있더라도 다른 이의 티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의 만남과 그 만남의 가치들이 학습되고 규정되고그리고 다른 만남의 잣대로 해석되겠지요. 타인의 티가 아무리 작더라도 그것이 때론 크게 보여 마음에 생채기로 남기도 하고, 타인의 티가 들보처럼 크게 보이더라도 우리 삶의 자세와 마음가짐에 따라 그 작디작은 티가 크디큰 사랑의 기회이자 버팀목이 될 때가 있습니다.

 

휘포크리테스는 상대적인 것들 안에서 저 혼자의 절대성을 강변합니다. 제 해석만이, 제 설명만이 가능하고 가능해야만 한다는 완고함에 사로잡힌 것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다릅니다. 오늘 복음은 이렇게 말합니다. “제자는 스승보다 높지 않다. 그러나 누구든지 다 배우고 나면 스승처럼 될 것이다.”(루카 6, 40) ‘배우다로 번역된 그리스어 동사카타르티조는 상호적 교육을 가리키기도 하고(갈라 6, 1) 하느님을 중심으로 한 서로의 친교와 일치를 가리키는 동사이기도 합니다(1코린 1, 10; 1테살 3, 10 참조). 한낱 인간의 모습으로 온 신을 섬기는 그리스도인은 절대적인 천상의 가치를 상대적인 지상 안에서 이리저리 펼치는 유연성을 제 인식과 사고의 밑바탕으로 삼는 사람들입니다. 하느님 안에서 서로가 서로를 위해 자유로이 설 수 있는카타르티조의 삶은 (1베드 5, 10 참조) 결국 용서와 사랑의 삶을 서로에게 가르치고 배우는 그리스도인의 삶인 것입니다.

 

우리는 정말 못 봅니다. 그래서 제대로 보고 제대로 듣고자 매일 반성하고 참회한다지만, 그걸로 충분치 않습니다. 아니, 그것으로 제대로 보기는커녕 여전히 우리의 들보는 제 눈과 제 마음과 제 머리에 틀어박혀 꼼짝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들보를 빼내기보다, 우리가 서로의 티를 너그럽게 볼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건 어떨까 합니다. 우리가 내뱉을 수 있는 유일한, 그래서 너무나 간절한 말 한마디는키리에, 엘레이손, 크리스테 엘레이손(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그리스도님 자비를 베푸소서)’가 아닐까 합니다. 오늘 복음을 읽고 묵상하고 기도하며, 행여 제 들보에 힘들었던 이들, 그들 안에 계시는 주님께 다시금 겸허히 청합니다. 부디 용서하시고, 감히 사랑으로 봐 주십사 라고 나지막이 읊조립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ㅣ 박병규 요한보스코 신부

 

?

SCROLL TOP